전시회의 하이라이트
쇼토쿠 태자와 불법 융성
『일본서기』 등의 옛 기록에 의하면 쇼토쿠 태자(聖德太子, 574~622)의 조부에 해당하는 킨메이 천황(欽明天皇, ?~571, 재위 539?~571) 시대에 한반도의 백제에서 정식으로 불교가 전래되었습니다(538년설과 552년설이 존재). 불교를 수용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수용에 적극적인 소가(蘇我) 씨와 배척하고자 하는 모노노베(物部) 씨를 중심으로 분쟁이 일어났으나 태자가 정치의 중심적 세력으로 부각되면서 불교가 급속히 일본 사회에 침투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태자와 인연이 깊은 유물을 중심으로 역사적 인물로서의 태자와 일본의 초기 불교에 대해 살펴봅니다.
|
|
중요문화재
보살 입상
아스카 시대(7세기), 나라・호류지(절)
|
호류지의 건립
쇼토쿠 태자(聖德太子, 574~622)는 자신이 거주하는 궁전 이카루가노미야(斑鳩宮)의 서쪽에 이카루가데라(斑鳩寺, 후에 호류지)를 창건하였습니다. 이는 607년의 일로, 이 해는 오노 노 이모코(小野妹子, 생몰년미상)가 견수사로 중국대륙에 파견된 해이기도 합니다. 호류지 창건은 603년에 일본 최초의 관위 제도인 관위십이계(冠位十二階)가 제정된 이후 역사적 전환기를 기념하는 사건으로, ‘법륭(法隆)’이라는 사찰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불법의 융성을 추진하는 중심지였습니다.
여기서는 불교 의식에서 사용된 여러 불교 도구류를 중심으로 호류지의 장엄을 소개합니다.
(부분)
국보
천수국수장
아스카 시대・스이코 천황 30년(622년) 경 나라・츄구지(절)
전기 전시: 7월 13일(화)~8월 9일(월)
|
호류지 토인과 보물
쇼토쿠 태자(聖德太子, 574~622)가 거주한 궁전 이카루가노미야(斑鳩宮)가 있었던 자리에는 현재 토인(東院)이 건립되어 있습니다. 『토인의 창건 유래와 소유재산에 관한 기록』(후기 전시)에 의하면 태자가 생존한 시대로부터 100년 이상 지나 황폐해진 모습으로 변한 토지를 복구하고자 교신(行信, 생몰년미상) 승려가 아베 내친왕(阿倍内親王, 718~770) 에게 호소하여 739년에 건립하였습니다. 헤이안 시대(794~1192)에는 토인 가람의 중심인 유메도노 전당 후방에 위치한 에덴(繪殿)과 샤리덴(舎利殿)에 쇼토쿠 태자 생애도와 나무불사리(南無仏舎利) 가 안치되어 절대적인 신앙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쇼토쿠 태자의 덕을 기리는 성령회(聖靈會) 중에서도 10년에 한 번 행하는 대회식(大會式) 등, 토인 가람과 관련된 화려한 법회에도 주목합니다.
|
국보
교신 승려 좌상
나라 시대(8세기), 나라・호류지(절)
|
|
|
쇼토쿠 태자와 부처의 모습
헤이안 시대(794~1192)에는 태자를 관음보살의 화신으로 여기게 되어, 태자의 모습은 신앙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호류지 쇼료인(聖靈院)에 안치된 ‘쇼토쿠 태자 및 4명의 시자’ 는 태자의 입적 500주기를 기념하여 제작된 대표작입니다. 이 외에도 태자는 2살 때의 모습과 16살 때의 모습을 비롯하여 여러 연령 때의 모습으로 표현되어, 불교계의 위인을 표현한 일반적인 조각상에서는 볼 수 없는 다채로운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다양하게 표현된 쇼토쿠 태자의 모습과 함께 호류지에 전래된 불화 명품을 소개합니다.
|
|
국보
쇼토쿠 태자 좌상
헤이안 시대・호안 2년(1121년), 나라・호류지(절)
|
|
중요문화재
쇼토쿠 태자(부친의 쾌유를 기원하는 모습)
카마쿠라 시대(13세기), 나라・호류지(절)
후기 전시: 8월 11일(수)~9월 5일(일)
|
|
|
호류지 금당과 오층탑
『일본서기』에 따르면 쇼토쿠 태자(聖德太子, 574~622)가 창건한 이카루가데라 가람(와카쿠사 가람)은 670년에 소실되어 이후 현재의 사이인(西院) 가람으로 재건되었습니다. 금당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립 이후 큰 변화 없이 전해내려온 내진(内陣)은 기적의 공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층탑의 일층 내부에는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표현한 '탑본소상(塔本塑像)'으로 알려진 군상이 안치되어 있으며, 박진감 넘치는 걸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서는 호류지의 금당과 오층탑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불상을 소개합니다.
|
|
국보
약사여래 좌상
아스카 시대(7세기), 나라・호류지(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