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문화재 옥으로 장식한 허리띠의 조각(부분)
나라시대 8세기
호류지보물관 제6실
2024년 5월 8일(수) ~ 2024년 6월 2일(일)
서적와 관련된 작품으로는 고켄 천황이 호류지에 헌납한 물품 목록인 <호류지 헌물장>, 당나라로부터 수입된 <작은 글씨로 쓴 법화경>, 다라수 잎에 글씨를 쓴 패엽경, 그리고 쇼토쿠 태자에 관한 전기와 호류지의 사원 기록을 적은 <고콘모쿠로쿠쇼(고금목록초)> 등이 있습니다.
염직물의 경우, 호류지 헌납 보물 중에는 아스카시대부터 나라시대 전기(8세기 전반 무렵)의 작품이 많은 것으로 유명하며, 이는 나라의 정창원 보물보다 오래된 것입니다. 불교 의식에서 공간을 장식하는 데 쓰이는 깃발인 번을 비롯하여, 승려들이 입는 분소의(누더기 옷)와 가사, 탁자나 바닥에 까는 깔개 등이 있습니다. 특히 번은 <광동 능직비단 대형 번>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그밖에도 용도를 알 수 없는 불완전한 형태의 작품도 많이 있습니다. 직물의 재질로는 비단과 태피스트리, 광동 비단(미리 염색해 둔 씨실 또는 날실을 정해둔 무늬에 따라 짜넣는 ‘가스리’ 방식으로 만든 비단), 능직비단, 평직비단 등이 있고, 염색 방식으로는 삼힐이라 불리는 교힐(홀치기 염색), 납힐(밀랍을 이용한 염색), 협힐(판묶기 염색) 등이 확인됩니다. 또한, 자수 작품과 꼰 끈, 전(펠트 직물) 등도 보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정 | 명칭 | 수량 | 작자/출토/전래 | 시대/연대/세기 | 소장자/기증자/진열품 번호 | 비고 | |
추천 | 국보 | 호류지헌물장 | 나라시대 756년 | N-5 | |||
중요문화재 | 고금목록초 | 겐신 | 가마쿠라시대 13세기 | N-18-1 | |||
고금목록초 사본 | 난보쿠초~무로마치시대 14~15세기 | N-19 |
지정 | 명칭 | 수량 | 작자/출토/전래 | 시대/연대/세기 | 소장자/기증자/진열품 번호 | 비고 | |
추천 | 중요문화재 | 옥으로 장식한 허리띠의 조각 | 나라시대 8세기 | N-49 | |||
추천 | 중요문화재 | 산 모양무늬 매듭 번두 | 아스카~나라시대 7~8세기 | N-50-1 | |||
갈색 바탕 나비무늬 그림 평직비단 ‘도인’ 명문 | 나라시대 8세기 | I-336-3a | |||||
황색 바탕 작은 원 꽃무늬를 금과 은으로 찍어낸 나(羅) | 나라시대 8세기 | I-336-4 | |||||
줄무늬 바탕 용무늬 자수 | 아스카시대 7세기 | I-336-93 | |||||
부처를 수놓은 비단 | 아스카시대 7세기 | I-336-102 | |||||
흰색 바탕 꽃무늬 전(氈) | 나라시대 8세기 | I-336-108 | |||||
평직비단, 능직 번족 조각 | 아스카~나라시대 7~8세기 | N-319-14 | |||||
평직비단 번 조각 | 아스카~나라시대 7~8세기 | N-319-34 | |||||
황색 바탕 산 모양무늬 능직비단 번족 조각 | 아스카~나라시대 7~8세기 | N-319-47-2 | |||||
옅은 갈색 바탕 홀치기 염색 무늬 교힐 평직비단 조각 | 나라시대 8세기 | N-319-123 | |||||
옅은 남색 바탕 평직비단 번족 조각 | 아스카~나라시대 7~8세기 | N-319-52-2 | |||||
황색 바탕 변형 바둑판무늬 능직비단 번족 조각 | 아스카~나라시대 7~8세기 | N-319-115 | |||||
적색 바탕 바둑판무늬 능직비단 번족 조각 | 아스카~나라시대 7~8세기 | N-319-11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