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난정서(오병본) (부분)
중국
글씨: 왕희지
글씨: 동진시대 353년
다카시마 기쿠지로 기증
(2023년 2월 28일부터 전시)
동양관 8실
2023년 1월 31일(화) ~ 2023년 4월 23일(일)
창립 150년을 맞이하여 이 전시에서는 일본과 중국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왕희지와 난정서로 대표되는 문인 문화를 소개합니다. 달필의 대명사인 왕희지의 서법과 난정수계(난정의 모임)를 보여주는 서화 및 문방 기물과 더불어 아집(풍류를 논하는 문인들의 모임)과 문인 교류와 관련된 작품을, ‘왕희지 서법의 전통’, ‘난정서와 그 문화’, ‘아집에 관한 다양한 고사’, ‘산수화 속의 문인 교류’라는 4개 주제로 전시합니다.
지정 | 명칭 | 수량 | 작자/출토/전래 | 시대/연대/세기 | 소장자/기증자/진열품 번호 | 비고 | |
추천 | 정무난정서(오병본) | 글씨: 왕희지, 중국 | 글씨: 동진시대 353년 | 다카시마 기쿠지로 기증, TB-1350 | 2023년 2월 28일부터 전시 | ||
진당 소해책 | 글씨: 왕희지 외, 편찬: 석방철 , 중국 | 글씨: 동진~당시대 4~8세기 | 다카시마 기쿠지로 기증, TB-1362 | 2023년 3월 12일까지 전시 | |||
추천 | 십칠첩 | 글씨: 왕희지, 중국 | 글씨: 동진시대 4세기 | 에가와 긴슈 기증, TB-1632 | 2023년 3월 14일부터 전시 | ||
추천 | 진시대의 글씨를 베껴 쓴 책자 | 왕문치, 중국 | 청시대 18세기 | 다카시마 기쿠지로 기증, TB-1293 | 2023년 3월 14일부터 전시 | ||
왕희지의 사상첩을 베껴 쓴 족자 | 포세신, 중국 | 청시대 19세기 | 다카시마 기쿠지로 기증, TB-1318 | 2023년 3월 12일까지 전시 | |||
행서 임하서 | 주탑, 중국 | 청시대 1700년 | TB-1634 | 2023년 3월 12일까지 전시 | |||
왕희지의 글씨를 베껴 쓴 족자 | 부산, 중국 | 청시대 17세기 | 다카시마 기쿠지로 기증. TB-1265 | 2023년 3월 14일부터 전시 | |||
추천 | 저수량이 베껴 쓴 난정서 | 글씨: 왕희지, 중국 | 글씨: 동진시대 353년 | 다카시마 기쿠지로 기증, TB-1352 | 2023년 3월 12일까지 전시 | ||
추천 | 건륭본 난정도 두루마리 | 글씨: 왕희지 외, 중국 | 청시대 1780년 | 하야시 무네타케 기증, TB-1591 | 2023년 3월 14일부터 전시 | ||
추천 | 난정춘계도 부채면 | 왕건장, 중국 | 명시대 1633년 | 히야네 이쿠코 기증, TA-695-3 | 2023년 3월 14일부터 전시 | ||
추천 | 도리원 | 구영, 중국 | 명∼청시대 17세기 | 오규 시게키·쇼지 다에코 기증, TA-719 | 2023년 3월 12일까지 전시 | ||
추천 | 거문고, 바둑, 글, 그림 | 낙관: 임인발, 중국 | 원시대 14세기 | TA-106 | 2023년 3월 14일부터 전시 | ||
추천 | 아홉 노인 | 족자 | 임이, 중국 | 청시대 1883년 | 하야시 무네타케 기증, TA-635 | 2023년 3월 14일부터 전시 | |
추천 | 중요문화재 | 대나무 숲의 물소리 | 이사달, 중국 | 명시대 16∼17세기 | TA-333 | 2023년 3월 12일까지 전시 | |
추천 | 중요문화재 | 사만 산수 | 족자 | 문백인, 중국 | 명시대 1551년 | TA-153 | 2023년 3월 14일부터 전시 |
추천 | 도리원 그림 부채면 | 사복 , 중국 | 청시대 1895년 | 하야시 무네타케 기증, TA-577 | 2023년 3월 12일까지 전시 | ||
추천 | 조하녹석 난정무늬 벼루 | 중국, 아오야마 산우 구 소장품 | 명시대 14∼17세기 | 아오야마 게이지 기증, TB-1670 |